[내가 읽은 마해송] 마해송 동화의 힘, 유머

바위나리 표1 s글_이재복

마해송의 작품을 읽다 보면 웃음이 절로 나온다. 마해송 작품에는 유머가 담겨 있다. 마해송 전집 1차분으로 나온 단편 모음집을 쭉 읽어 보니, 웃음이 나온 이야기에는 어린아이들을 위해서 작가가 부조리한 현실과 대신 싸워 주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이럴 때 작가가 쓰는 언어는 풍자적이면서도 거침이 없다.
한 예로 『멍키와 침판찌』란 작품이 있다. 작품 시공간의 설정이 재미있다. 멍키라는 원숭이만 사는 섬에 덩치가 큰 놈이 끄나풀을 데리고 왕 노릇을 하면서 살고 있다. 이 왕과 끄나풀의 말을 듣지 않는 원숭이들은 꼬리가 잘리거나, 궁둥이의 가죽이 벗겨지거나, 얼굴의 가죽이 벗겨져 시뻘겋게 되었다.
하루는 이 섬에 왕 멍키 원숭이보다 덩치가 몇 갑절이나 큰 침판찌들이 나타났다. 침판찌들은 멍키들에게 왕이 있는 것이 좋은 지, 없는 것이 좋은 지 ‘작대기 내기’(투표)를 하게 하였다. 50마리를 뽑아서 작대기 내기를 하는데, 오른편에 던지면 왕이 있는 것이 좋다는 것이고, 왼편에 던지면 왕이 없어야 좋다는 것으로 셈해서 결정하기로 하였다.
이러자 왕 멍키의 끄나풀들은 침판찌 몰래 다니면서 오른편에 던지는 놈이 있으면 자지를 벤다고 위협을 하고 다녔다. 자지를 벤다고 하는 설정에서 우선 웃음이 빵 터진다.
그러면 작대기 내기를 한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끝 부분을 같이 읽어 보자.

뽑힌 멍키 50마리가 하나씩 하나씩 작대기를 들고 올라갔다.
끝나고 보니 얼씨구, 왼편에 49, 오른편에 단 한 개 작대기가 있었다.
셈이 끝나자 침판찌들은 왕 멍키와 끄나풀들을 모두 둘씩 셋씩 한 손에 뭉쳐 쥐고 꼼짝을 못하게 했다.
멍키들은 좋아라고 서로들 얼싸안고 끼끼끼 까까까 꾸꾸꾸 야단법석이었다.
아들 멍키는 아버지 멍키에게로 뛰어 갔다.
“오른편 작대기 한 개 아버지지? 자지 벤다는 게 무서워서 아버지만 왕이 좋다고 했지? 겁쟁이! 나는 부끄럽다.”
아들은 벌벌 떨고 있는 아버지의 얼굴을 할퀴었다. 그러자 모두들 모여 와서 그것을 알고 야단을 하니 침판찌는 아버지 멍키도 손아귀에 집어넣어 버렸다.
그다음 날 이 섬에는 왕도 끄나풀도 보이지 않았다. 침판찌도 보이지 않았다. 침판찌가 모두 어디로 데려갔는지도 모른다. 멍키 원숭이들은 거리끼는 것 없이 활개를 펴고 잘 놀았다 aufblasbare dartscheibe.
그러나 벌을 받은 자리는 그대로 빨갛다.

시공간 자체가 매우 상징적이다. 아버지와 아들이 대립하는 설정 자체가 매우 흥미롭기도 하다. 보통 민담에 보면 구질서를 상징하는 아버지는 죽고, 새로운 질서를 상징하는 아들은 새 삶의 여행을 떠난다. 민담이 담고 있는 전복의 상상력이 느껴지는 이 작품은 『새벗』(1966년 11월호)에 발표되었다. 60년대 한국의 정치 상황을 풍자하는 의미 또한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해송 동화는 언제 읽어도 늘 새로운 느낌이 든다. 유머의 힘이 느껴져서 그럴 것이다.

마해송 지음
카테고리 마해송 전집 | 출간일 2013년 6월 26일
사양 변형판 152x213 · 356쪽 | 가격 15,000원 | ISBN 9788932024134

이재복

아동문학평론가. 1957년 경기도 강화에서 태어나 서울교대, 성균관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자세히 보기